본문 바로가기
농업인이야기

<농업인 안전보험> 직장인도 가입가능합니다

by 보강토엔지니어 2023. 4. 11.

<농업인 안전보험>을 아시나요? 

 농업경영체 등록된 농업인은 당연히 가입 가능합니다. 정부나 지자체 에서 많은 지원금을 받으면서 남녀 구분없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농업인이 아니어도 가입이 될까요? 직장 다니는 산재보험 가입자인경우는 가입이 될까요?

 

제가 직접 확인한바로는 결론은 2023년 4월 현재 가입 가능하다입니다. 
<농업인 안전보험>은 농작업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로부터 농업인의 신체나 재산에 대한 손해를 보상하기 위한 보험입니다.
하나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농업인 안전보험> 상품 특징으로는
-농업인을 위한 정책보험이고 보험료의 50%이상을 정부에서 지원합니다.
-성별/연령 구분없이 단일보험료를  적용합니다.
-보험사업자는 농협생명보험주식회사에서 사업을 진행합니다.
-판매처는 지역 농·축협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농협정책보험금융원 또는 지역 농축협으로 문의 하시면 정확한 답변을 얻을수 있습니다.
 https://www.apfs.kr/front/contents/sub.do?contId=92&menuId=5325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농업인 안전보험>은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농업인만 가입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즉, 농업인이 아닌 직장 다니는 근로자는 가입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직장 다니는 근로자도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이 생겼습니다. 아내가 농업인이고 남편이 직장 다니는 근로자일경우에 가입할수 있습니다.

또한 주말에만 농사를 짓는 근로자도 가능합니다. 아울러 주중 전일농사를 짓는경우에도 가능합니다.
아직은 지역농협에서 담당자가 잘알지 못한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한 보험이름이 있습니다.
농업인 안전보험중 <산재근로자 전용 보험>입니다.
지역농협 방문해서 정확하게 농업인 안전보험 가운데 직장을 다니고 있는 산재보험 가입자가 가입할수 있는 산재근로자 전용 보험 가입해 달라 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왜 농업인 안전보험보험이 필요할까요?

농업인 안전보험을 가입해야 농업기술센터에서 농기계를 임대할수 있습니다. 물론 지역마다 필요 없는곳도 있지만 대부분 농업기술센터에서 요구를 합니다.
한편으로는 꼭 필요한 규정이라 생각합니다. 언제라도 농사를 지을 때 사고가 날수 있으니 미리 준비해 가입해서 문제 될것이 없다 생각합니다.
어쨌든 <산재근로자 전용 농업인안전보험 1종>전일보장형으로  저는 보험료가  58,900원이 나왔습니다. 정부나 지자체 지원은 없습니다.

지자체마다 지원금액이 다를수 있습니다.  
농업경영체 등록한 농업인 경우에는 정부에서 39,950원 지원해주고 지자체에서 11,990원 지원해주고 농협에서 20,000원 지원해주어 개인부담이 7,960원 지급하였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지역농협이나 축협으로 꼭 전화 해보시기 바랍니다.

농업인안전보험 상품구성

 

농업인안전보험 설명
우측에 있는 산재근로자 전용(전일보장형)


직장다니는 근로자로 산재보험 기존에 가입되어 있으면 우측에 있는 산재 근로자 전용보험 가입해 달라 하시면 됩니다.










댓글